본문 바로가기
정보수집

산통 깨다 뜻 유래

by 수집이 좋아 2025. 1. 21.

티브이 프로그램이나 일상생활에서 ‘산통을 깨다’라는 표현을 들어봤을 것이다. 오늘은 '산통 깨다'라는 표현의 뜻과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다.

 

산통을 깨다 뜻

 

 

산통을 깨다 뜻

 

'산통을 깨다'는 "잘 되어가는 일을 망치다" 또는 "어떤 일이 잘 진행되던 중에 중단되거나 흐지부지되다"는 뜻이다. 예를 들어, 어떤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다가 중간에 방해를 받아 결국 목표를 이루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.

 

참고로, 이 표현은 임산부의 통증과는 관련이 없다.

 

 

산통의 유래 2가지

 

1. 산통점의 산통

산통점(算筒占)에서 사용되는 산통(算筒)은 점을 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구로, 괘(卦)를 새긴 산가지라는 막대기를 넣는 통을 말한다. 이 산통은 산가지라는 막대기를 넣고 흔든 후, 거꾸로 들어서 빠져나오는 산가지에 새겨진 숫자를 통해 점괘를 해석하는 방식이다.

 

산통점의 과정

  • 산통에 산가지라는 막대기를 넣는다. 이 산가지는 대개 향나무나 대나무, 금속으로 길이가 약 10cm 정도이며, 1부터 8까지 숫자가 새겨져 있다.
  • 산통을 몇 번 흔든 후, 통을 거꾸로 들어 뚫린 구멍으로 산가지가 빠져나오게 한다.
  • 빠져나온 산가지 중 세 개를 꺼내 그에 새겨진 숫자를 보고 점괘를 읽는다.

만약 산통이 깨지면, 점을 치는 과정이 중단되며 점쟁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다. 그래서 '산통을 깨다'라는 표현은 어떤 일이 잘 되어가다가 중간에 방해를 받아 그 흐름을 끊거나, 일을 망쳐버리는 상황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.

 

2. 산통계의 산통

산통은 과거에 공동으로 돈을 모아 곗돈을 나누는 산통계(算筒契)에서 사용된 통을 말한다. 산통계에서는 계원들이 일정 금액을 모은 후, 그 돈을 나누기 위해 통 안에 계원의 이름이 적힌 계알을 넣고 흔들어 추첨을 통해 곗돈을 받을 사람을 뽑았다.

 

산통계는 계원 전원이 한 번씩 곗돈을 타야 끝이 난다. 그러나 이 과정에서 산통계가 중간에 깨지면, 계획대로 곗돈을 받을 수 없게 되어 결국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. 그래서 '산통 깨다'는 "어떤 일이 이뤄지지 못하게 뒤틀리거나 실패하게 되는 상황"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.

 

 

산통 깨다 비슷한 표현

 

  • 초를 치다
  • 다 된 밥에 재 뿌리기
  • 다 된 죽에 코 빠뜨리기
  • 김이 새다

이 표현들은 모두 '산통을 깨다'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며, 일이 잘 진행되다가 중간에 방해를 받거나 흐지부지되면서 실패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쓰인다.

 

 

※ 일반적인 정보 수집입니다. 정보의 정확성, 완전성 등에 대해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습니다.


 

지박령 뜻

"지박령"이라는 단어는 일상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표현은 아니지만, 때때로 인터넷 커뮤니티나 회사 등에서 사용되곤 한다. 이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상황에 따라 약간 어색하거

goodincome.tistory.com

 

포비아 뜻 종류

포비아 뜻, 유래, 종류최근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"포비아(Phobia)"라는 단어는 공포증을 의미한다. 보통 대상이나 상황을 넣어 'OO 포비아'라고 부른다. 예를 들어, 최근 전기차 화재와 관련해 '

goodincome.tistory.com

반응형

'정보수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TOP 10  (2) 2025.01.29
월세 화재보험 가입  (0) 2025.01.27
운동 초보자를 위한 필수 팁  (1) 2025.01.03
12간지 순서 유래  (3) 2025.01.01
버드 스트라이크 (조류 충돌) 뜻  (0) 2024.12.29

댓글
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